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ethod
- 문자열
- 함수
- oracle
- Programming
- PL/SQL
- jsp
- Database
- web
- 자바스크립트
- frontend
- 서블릿
- 데이터베이스
- Python
- 프론트엔드
- 오라클
- 자바
- 파이썬
- 웹
- SQL
- String
- HTML
- function
- 메소드
- Servlet
- 코딩
- JavaScript
- java
- 프로그래밍
- It
- Today
- Total
Untitled_Blue
[JSP] JavaBeans (자바빈즈) 본문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자바빈즈에 대한 설명입니다.
- 자바빈즈 (JavaBeans)란?
- 하나의 자바 클래스며 데이터를 설정하고 얻어오는 과정을 통해 변환하는 역할 담당
- getter와 setter를 통해 데이터 간 이동이 이뤄지며 기본 생성자와 오버라이딩한 생성자가 반드시 필요
- 이를 통해 중복된 부분은 과감히 제거함으로써 로직을 별도로 분리함을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음.
- 빈즈 파일의 구조
package Testing;
public class TestBeans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TestBeans() {
super();
}
public TestBeans(String id, String name) {
super();
this.id = id;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Stri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빈즈파일에는 크게 getter, setter, 기본 생성자, 매개변수가 있는 오버라이딩한 생성자가 있다. 이때 setter 부분을 보면 this라는 키워드를 통해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설정 내지 저장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데이터를 설정할 때는 객체.setXxxx(value)를 사용하고 기존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가져올 때는 객체.getXxxx()를 사용한다.
빈즈를 설정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먼저 사용할 변수를 입력해주고 우클릭 > Source로 들어가서 Generate Getters and Setters, Constructor using Fields, Constructor from Superclass를 사용하면 4가지의 핵심 요소를 모두 설정할 수 있다. 이때 Getters and Setters, Constructor using Fields는 변수를 선택하는 부분이 있는데 모두 선택해줘야 한다.
<%@page import="Testing.TestBeans"%>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
TestBeans obj = new TestBeans();
obj.setName("Untited_Blue");
%>
<h2><%=obj.getName() %></h2>
</body>
</html>
다음은 만들었던 빈즈 파일을 기반으로 jsp파일을 작성한 코드이다. 해당 jsp 안에는 빈즈에 대한 객체를 생성한 후 setter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설정해주고 getter를 통해 저장해둔 데이터를 얻어냄과 동시에 웹 페이지에 출력하도록 작성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Beans는 다른 말로는 DTO, VO라고도 칭할 수도 있다. 데이터를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더해서 데이터에 접근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 내용을 처리하기 위한 DAO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다채롭고 다양한 로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빈즈는 데이터베이스 내부 데이터를 다룰 때 반드시 필요하다.
다음은 세션과 쿠키에 대한 설명입니다. 감사합니다.
'JSP&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cos.jar를 활용한 파일 업로드 (0) | 2024.06.12 |
---|---|
[JSP] 쿠키와 세션 (2) | 2024.03.16 |
[JSP] 액션태그 (0) | 2023.10.08 |
[JSP] 내장객체 (1) | 2023.10.07 |
[JSP] JSP의 스크립트 요소 (0) | 2023.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