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sp
- oracle
- 메소드
- Method
- 코딩
- Python
- String
- function
- 오라클
- 문자열
- SQL
- PL/SQL
- 자바
- java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 파이썬
- Programming
- 프로그래밍
- frontend
- 서블릿
- 프론트엔드
- HTML
- Servlet
- 자바스크립트
- web
- It
- 함수
- 웹
- JavaScript
- Today
- Total
목록PL/SQL (4)
Untitled_Blue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트리거에 대한 설명입니다.- 트리거(Trigger)란?데이터베이스 내 특정 이벤트(상황, 동작)이 발생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기능을 정의하는 PL/SQL 서브 프로그램특정 데이터 또는 작업과 연관된 여러 작업을 통합하여 한 번에 수행가능복잡한 데이터 규칙을 정의하여 데이터 처리 가능데이터 변경 관련 일련의 정보 기록 가능함으로써 데이터 보안성, 안정성 보장가능하며 문제 시 대처 능력 기대 가능CREATE OR REPLACE [트리거명]BEFORE [|| AFTER] INSERT || UPDATE || DELETE ON [테이블명]REFERENCING OLD AS old || NEW AS newFOR EACH ROW WHEN [조건식]FOLLOWS [트리거명]ENABLE || DI..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함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함수란?SQL문과 프로시저, 트리거에서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며 함수 안에 로직을 생성하여 사용하는 키워드프로그래밍 언어에 비유하면 메서드 (Method)와 유사한 개념프로시저와 다르게 IN 파라미터만 사용가능반드시 최소 하나의 값은 반환해야 하며 RETURN 키워드를 사용CREATE [OR REPLACE] FUNCTION [함수명] ( [변수명] IN [자료형], ... [변수명] IN [자료형])RETURN [자료형]IS [변수명] [자료형] := [값 또는 식];BEGIN [내부 로직]; RETURN [값 또는 식];END;/함수를 구성하는 내부 로직은 상단과 같다. 첫 번째 라인에 있는 CREATE OR REPLACE [함수명]은 프로시저처..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프로시저에 대한 설명입니다.- 프로시저란?특정 처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저장 서브프로그램일정한 논리와 로직에 의거하여 데이터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 담당CREATE [OR REPLACE] PROCEDURE [프로시저명]IS [AS] [변수명] [자료형] := [값 또는 식];BEGIN [내부 로직];EXCEPTION [예외 시 실행 로직];END;/프로시저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며 각 구문에 대한 설명은 하단과 같다.CREATE PROCEDURE : 프로시저를 생성하기 위한 구문이며 CREATE 뒤에 OR REPLACE를 추가하면 현재 작성한 내용으로 새로 대체되며 나중에 프로시저를 수정하는 작업할 때 주로 활용되고 있음IS, AS, BEGIN : 선언부를 의미..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PL/SQL에 대한 설명입니다.- PL/SQL이란?DB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와 실행 필수 요소를 정의하는 명령어의 집합키워드필수 유무설명DECLARE선택선언부이며 실행에 필요한 변수, 상수, 커서 등 선언하는 공간BEGIN필수실행부이며 조건문, 반복문, 함수, SELECT, DML 등을 정의하는 공간EXCEPTION선택실행 중 발생하는 예외 및 오류를 다루는 공간상단의 표는 PL/SQL를 다루기 위해서 필요하는 기본적인 블록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선언부와 예외는 선택적으로 다룰 수도 있지만 BEGIN은 필수이다.DECLARE BEGIN -- 한 줄 주석 /* 여러 문 주석 입니다. */ DBMS_OUTPUT.PUT_LINE('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