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자열
- 자바스크립트
- HTML
- java
- Python
- 함수
- JavaScript
- SQL
- 오라클
- 메소드
- oracle
- frontend
- Programming
- 프로그래밍
- 코딩
- 자바
- String
- 프론트엔드
- It
- Method
- function
- Servlet
- web
- Database
- PL/SQL
- 파이썬
- 서블릿
- 웹
- jsp
- 데이터베이스
- Today
- Total
목록Database/SQL (21)
Untitled_Blue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IS NULL and IS NOT NULL 그리고 NVL and NVL2에 대한 설명입니다. - IS NULL, IS NOT NULL [칼럼명] IS NULL : 칼럼명에 대한 값이 비어있는 튜플을 조회하는 연산자 [칼럼명] IS NOT NULL : 칼럼명에 대한 값이 비어있지 않은 튜플을 조회하는 연산자 NULL이란 비어있는 값을 의미하며 절대 0이랑 같은 선에서 혼동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숫자 0은 0이라는 값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NULL값은 데이터를 입력할 때 해당 란에 어떠한 값도 입력하지 않고 공백으로 뒀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다음은 EMP 테이블의 전체 데이터를 출력한 결과이다. 여기서 MGR과 COMM 부분에서 (null)이라고 적혀있는 부분이 보일 것이다. 이 ..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WHERE 절에 대한 설명입니다. - WHERE 절이란? WHERE : 데이터를 조회할 때 특정 조건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범위의 데이터만 조회가능하게 해주는 조건절 WHERE 절을 사용하면 조회하고자 하는 칼럼명을 언급하는 것보다 더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데이터를 조회가능하다. 예를 들어 EMP 테이블에서 JOB(직책 또는 직업)이 MANAGER인 사람만 추출해서 조회하고 싶으면 where 절을 어떻게 작성하면 될까?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제어자인 if문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select * from EMP where JOB = 'MANAGER'; 다음과 같이 칼럼명 뒤에 = 을 붙이고 바로 뒤에 원하는 직책명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부분만 골라서 조회할 수 있다..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SELECT문에 대한 설명입니다. - SELECT문이란? select : 데이터베이스 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표(Table) 형식으로 조회할 수 있는 명령어 DQL에 해당되며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면서 제일 많이 사용될 문법이다. 왜냐하면 데이터를 추가, 삭제, 수정 작업 후 제대로 원하는 데이터 처리 작업이 잘 반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시작으로 where이나 order by와 같이 특정 조건을 추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데이터를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들도 인터넷 쇼핑몰이나 게시글을 볼 때도 정렬 기능을 사용해서 신상품순, 오름차순, 내림차순, 가격높은순, 리뷰많은순, 인기순 등등으로 조회하고 대개적으로 상단에 붙어있는 검색창을 사용해서 원하는 단어만 조회할 수..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데이터 모델에 대한 설명입니다. - 데이터 모델 데이터 모델(Data Model) 이란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대한 모형을 의미한다. - 계층형 데이터 모델 계층형 데이터 모델이란 트리구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계층별로 정리해서 부모-자식 관계로 정의 및 관리하는 모델이다. 1:N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점이 특징이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나아가는 방식이다. 그만큼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는 부분에서 제약이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다. -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이란 개체 간의 관계를 그래프 구조로 연결하는 형식의 모델이다. 1:N 구조를 넘어서 1:1, N:N, N:1 다양한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계층형 데이터 모델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호관계가 자유..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SQL과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에 대한 내용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SQL이란? SQL이란 Structured Query Lanuage의 약자로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 조작, 검색 등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 언어를 의미한다. SQL은 1986년에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표준협회와 1987년에 ISO (Inte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zation), 국제표준기구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부분에서 국제 표준화 언어임을 인증했다. 그만큼 SQL은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부분에서 안정화된 언어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자료와 정보의 상관관계 자료 : 어떤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