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
- SQL
- 프로그래밍
- 파이썬
- 함수
- 서블릿
- function
- 웹
- JavaScript
- 프론트엔드
- 코딩
- web
- 메소드
- String
- 오라클
- 자바스크립트
- java
- jsp
- It
- Programming
- 문자열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 Method
- frontend
- Python
- oracle
- Servlet
- PL/SQL
- HTML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 (56)
Untitled_Blue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형 변환 함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 형 변환 함수란? 형 변환 함수 : 필요에 맞게 하나의 자료형을 문자, 숫자, 날짜형의 자료형으로 바꿔주는 함수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변환 함수를 사용해야 하며 변환하고자 하는 자료형과 기존의 자료형이 무엇인지에 따라 사용해야 되는 형 변환 함수가 다르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함수는 크게 3가지가 있다. TO_CHAR() : 날짜 또는 숫자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함수 TO_DATE() : 문자 데이터를 날짜 데이터로 변환하는 함수 TO_NUMBER() : 문자 데이터를 숫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함수 - TO_CHAR() 함수 - '날짜에서 문자로', '숫자에서 문자로' 사용 형식 : TO_CHAR(날짜, ..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날짜 함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 날짜 함수란? 날짜 함수 : 날짜 데이터를 전반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함수 - What is 'SYSDATE'? SYSDATE : 시스템 상 오늘의 날짜가 출력하는 함수 select SYSDATE from DUAL; 다음과 같이 SYSDATE만 입력하면 현재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 날짜에 숫자를 더하고 빼면? 과거와 미래가 나온다 ! select SYSDATE + 1, SYSDATE + 7, SYSDATE - 30 from DUAL; 다음과 같이 날짜에 숫자를 더하고 빼면 각각 몇 일 뒤의 날짜와 몇 일 전의 날짜를 출력할 수 있음을 확인 가능하다. - 어느 달의 첫 날과 마지막 날은 언제일까? NEXT_DAY(날짜, 요일 문자) :..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문자 및 숫자 함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 문자 함수 문자 함수 : 문자 데이터를 가공 및 응용을 통해 문자 데이터로부터 특정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 1) 영문자의 대소문자를 다뤄주는 함수 UPPER(문자열) : 문자 데이터 전체를 대문자로 전환 후 출력하는 함수 LOWER(문자열) : 문자 데이터 전체를 소문자로 전환 후 출력하는 함수 INITCAP(문자열) : 문자 데이터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나머지는 소문자로 변환 후 출력하는 함수 select UPPER(ENAME), LOWER(ENAME), INITCAP(ENAME) from EMP; 다음 코드는 EMP 테이블에서 ENAME의 영문자를 각각 대문자, 소문자 그리고 첫 글자만 대문자로 나머지는 소문자로 변환해서 반환..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예외 처리에 대한 설명입니다. - 예외란 무엇이며 오류랑 무슨 차이가 있을까? 예외(Exception)란 프로그램 개발 중 또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규격 외의 값을 입력했거나 미숙한 조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이며 개발자가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내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면 예외도 어떻게 보면 오류 내지 에러라고 볼 수 있는데 왜 예외와 에러를 따로 보는 걸까? 해답은 해결가능한 범위인가에 따라 둘의 차이가 명확하게 분류된다. 일단 둘 다 오류라는 큰 범주에 속하고 있다. 예외 : 개발자가 해결할 수 있는 범위의 오류 (입력값 규격 위반, 연산 불가능, 인덱스 범위 외의 값 접근 시도 등..) 에러 : 개발자가 해결할 수 없는 범위의 오류 (메모리 용량 초과, 쓰레드 ..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IS NULL and IS NOT NULL 그리고 NVL and NVL2에 대한 설명입니다. - IS NULL, IS NOT NULL [칼럼명] IS NULL : 칼럼명에 대한 값이 비어있는 튜플을 조회하는 연산자 [칼럼명] IS NOT NULL : 칼럼명에 대한 값이 비어있지 않은 튜플을 조회하는 연산자 NULL이란 비어있는 값을 의미하며 절대 0이랑 같은 선에서 혼동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숫자 0은 0이라는 값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NULL값은 데이터를 입력할 때 해당 란에 어떠한 값도 입력하지 않고 공백으로 뒀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다음은 EMP 테이블의 전체 데이터를 출력한 결과이다. 여기서 MGR과 COMM 부분에서 (null)이라고 적혀있는 부분이 보일 것이다. 이 ..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입니다. - 인터페이스란? 먼저 인터페이스의 사전적인 정의는 2개 이상의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전기 신호를 변환해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 관점에서 보면 인터페이스는 추상 메서드로만 구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두 개 이상의 객체 연결을 담당하는 문법을 의미한다. 사용하는 방법은 클래스명 뒤에 implement을 붙이고 그 뒤에 오버라이딩하고자 하는 인터페이스를 입력한다. package classes; interface Inter_A { int a = 5; public static final String b = "Hello"; void mPrint(); public abstract void mPrint2(); } interface Inte..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final과 abstract 제어자에 대한 설명입니다. - final 제어자 final이란 사전적으로 해석하면 '최종적'이라는 뜻이다. 이를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보면 필드(변수)에 한 번 값이 저장되면 실행 도중이거나 다른 영역에서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뜻이다. 즉 한 번 값이 할당되면 그걸로 끝이라고 보면 된다. package classes; class Firsting { int a = 10; final String k = "Firsting"; Firsting() {} } class Seconding { int a; final String k; Seconding() { a = 20; k = "Seconding"; } } class Thirding { int a = 30; fin..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WHERE 절에 대한 설명입니다. - WHERE 절이란? WHERE : 데이터를 조회할 때 특정 조건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범위의 데이터만 조회가능하게 해주는 조건절 WHERE 절을 사용하면 조회하고자 하는 칼럼명을 언급하는 것보다 더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데이터를 조회가능하다. 예를 들어 EMP 테이블에서 JOB(직책 또는 직업)이 MANAGER인 사람만 추출해서 조회하고 싶으면 where 절을 어떻게 작성하면 될까?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제어자인 if문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select * from EMP where JOB = 'MANAGER'; 다음과 같이 칼럼명 뒤에 = 을 붙이고 바로 뒤에 원하는 직책명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부분만 골라서 조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