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
- Programming
- jsp
- 데이터베이스
- 함수
- frontend
- Method
- It
- 서블릿
- HTML
- 프론트엔드
- 자바
- oracle
- Database
- java
- function
- Python
- 코딩
- String
- 프로그래밍
- 웹
- JavaScript
- 문자열
- 메소드
- Servlet
- 자바스크립트
- PL/SQL
- SQL
- web
- 오라클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 (56)
Untitled_Blue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파이썬의 자료형과 출력문인 print()에 대한 설명입니다. 필자는 Python 3.12와 JetBrains사의 PyCharm 2023.05 IDE를 사용하고 있음을 밝힙니다. - print() : 콘솔에서 내용을 출력하기 위한 일종의 문법 print("Welcom to Python !") #print("Welcom to JAVA !") 다음과 같이 print()를 통해 원하는 문자를 출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언어에 비해 출력하기 위한 문법이 상대적으로 간결하다는 점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 이라는 특수문자를 활용해서 주석처리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가능하다. - 자료형 (Data Type) 자료형이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종의 저장공간을 의미한다. 파이썬은 동..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자바빈즈에 대한 설명입니다. - 자바빈즈 (JavaBeans)란? 하나의 자바 클래스며 데이터를 설정하고 얻어오는 과정을 통해 변환하는 역할 담당 getter와 setter를 통해 데이터 간 이동이 이뤄지며 기본 생성자와 오버라이딩한 생성자가 반드시 필요 이를 통해 중복된 부분은 과감히 제거함으로써 로직을 별도로 분리함을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음. - 빈즈 파일의 구조 package Testing; public class TestBeans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TestBeans() { super(); } public TestBeans(String id, String name) { super(); this..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JSP의 액션태그에 대한 설명입니다. - 액션태그 (Action Tag)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를 제어 및 특정 페이지 포함시키는 역할 담당 액션태그 설명 다른 페이지를 현재 페이지에 포함시킬 때 사용 페이지 사이의 이동 제어 브라우저에서 Java Applet를 실행할 때 사용 Java의 Beans를 JSP에서 사용 프로퍼티의 값을 설정할 때 사용 프로퍼티의 값을 얻어낼 때 사용 - 별도의 객체 선언 및 생성없이 자바 클래스 파일을 사용할 수 있는 액션태그 package Testing; public class TestBeans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TestBeans() { super(); // TODO Auto-gen..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JSP의 내장객체와 영역에 대한 설명입니다. - 내장객체란? JSP와 Servlet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특수한 참조타입 변수와 메서드형식으로 접근 가능 MVC 패턴으로서 프론트와 백엔드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제공 내장 객체 참조 공식 API 설명 reques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javax.servlet.ServletRequest 웹 브라우저의 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객체 (프론트 -> 백으로 넘길 때 사용) response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javax.servlet.ServletResponse 웹 브라우저의 요청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객체 (백 -> 프론트로 ..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JSP의 스크립트 요소에 대한 글입니다. - 스크립트 요소란? JSP파일에서 자바 코드를 사용하기 위한 일종의 코드 블럭 크게 선언문(Declaration), 스크립트릿(Scriptlet), 표현식(Expression) 3가지로 분류된다. - 선언문 (Declaration) JSP 파일 내 필요한 변수와 메서드를 선언 및 사용하기 위한 요소 다음과 같이 변수와 메서드를 선언하기 위해 해당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선언문은 여러 번 선언할 수 있다. - 스크립트릿 (Scriptlet) JSP 페이지 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크립트 요소이자 로직을 기술할 때 사용 해당 스크립트 요소에 선언되는 모든 부분은 지역변수로 인식 여기는 티스토리 플랫폼에서 운영..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JSP의 디렉티브(Directive)에 대한 설명입니다. - 디렉티브란? 요청한 JSP파일을 실행할 때 필요한 설정 정보를 지정하는데 사용하는 하나의 단위 크게 page, include, taglib 디렉티브로 3가지로 구성된다. - page 디렉티브 JSP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때 사용하며 주로 import할 클래스, Session 및 Buffer의 사용여부를 시작으로 문서타입고 스크립트 언어를 통해 JSP파일이 온전한 웹페이지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정보를 지정하는 역할 다음은 필자가 진행했던 프로젝트 일부에서 발췌한 JSP 파일 소스코드의 일부이다. 다음과 같이 를 통해 필요한 자바 클래스 내지 API와 문법을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ontentTyp..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웹에 대한 이해와 JSP와 Servlet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입니다. - WWW, URI, HTML www : World Wide Web의 약자로서 웹이라고도 부르며 전 세계의 인터넷 내지 네트워크가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방대한 인터넷 공간을 의미한다.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통합 자원 식별자이며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 (하위 개념으로 URL, URN이 있다.)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 마크업 언어로 웹 문서를 나타내기 위한 태그 형식의 언어 - 정적 웹페이지 vs 동적 웹페이지 정적 웹페이지 :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데이터를 표현할 수 없으며 프로그래밍 코드 및 데이터..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객체에 대한 설명입니다. - 객체란? 속성의 집합체이며 하나의 사물을 정의한다. 배열 안에는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와 위치 내에 있는 데이터인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객체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배열, 함수, 날짜, 정규 표현식 등이 있다. 다음과 같이 하나의 객체 안에 쉼표를 기준으로 여러 개의 요소를 설정할 수 있으며 요소 안에는 키와 값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const blog_info = { 이름 : 'Untitled_Blue', 소속 : 'Tistory', 블로그생성일 : '2023.03.11' }; document.write(blog_info['이름'] + " "); document.write(blog_info['소속'] + " "); document.w..